-
[Spring Boot] ResponseEntity란?spring boot 2024. 1. 24. 00:53
ResponseEntity는 HttpEntity를 상송받아 구현한 클래스이다.
ResponseEntity는 받은 요청에 대해 응답 데이터의 HttpStatus, HttpHeaders 그리고 Body를 지정할 수 있게 해준다.
따라서 ResponseEntity는 상황에 따라서 맞는 Status Code 값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.
@GetMapping("/request2") public ResponseEntity<String> useDTO(TranslatorDTO translatorDTO) { return new ResponseEntity<>(translatorDTO.toString(), HttpStatus.OK); }
이처럼 Status Code 200을 부여 할 수도 있고
@GetMapping("/request2") public ResponseEntity<String> useDTO(TranslatorDTO translatorDTO) { return new ResponseEntity<>(translatorDTO.toString(), HttpStatus.BAD_REQUEST); }
이처럼 Status Code 400을 부여 할 수도 있다.
Status Code 표
200 OK 201 CREATED 202 ACCEPTED 204 NO_CONTENT 207 MULTI_STATUS 301 MOVED_PERMANENTLY 400 BAD_REQUEST 401 UNAUTHORIZED 403 FORBIDDEN 404 NOT_FOUND ..... 등등
'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Logback에 대해서 알아보자. (0) 2024.02.12 [spring boot] 에러 핸들링 @ExceptionHandler @ControllerAdvice (0) 2024.01.25 [Spring] 다양한 매핑 방법 (1) 2024.01.22 spring security 403 Forbidden Error (0) 2023.01.12 JPA 연관관계 매핑 (0) 2023.01.12